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민속을 집대성하기 위한 전문백과사전으로 주제를 크게 여덟 가지로 나누어 편찬사업을 진행 중이다.
"<한국세시풍속사전>, <한국민속신앙사전>, <한국민속문학사전>, <한국일생의례사전>, <한국민속예술사전>,<한국의식주생활사전>, <한국생업기술사전>, <한국민속사회사전>"을 통칭하여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이라 한다.
사업목적
- 한국 민속에 대한 총체적 설명을 제공하는 전문백과사전 편찬
- 전통 문화에 대한 지식 체계 구축 및 민속 문화의 국내외 홍보
- 급속히 사라져가는 민속에 대한 보존과 전승에 기여
지향점
- 학습과 참조가 조화를 이룬 사전
- 멀티미디어의 질과 양에서 세계 최고의 전문백과사전으로 자리매김하여 사전학사에 표준 모델이 되는 사전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편찬 방향과 특징
- 민속 현장을 중심으로 하여 내용과 관련 자료를 수집 정리
- 민속이라는 문화적 행위를 과거로부터 현대의 모습까지 통시적으로 조명
- 일반인의 관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객관적이고 쉬운 논조와 상세한 기술 지향
- 인쇄본 사전, 웹 사전을 순차적으로 발간 및 서비스
- 방대한 양의 고품질 멀티미디어 자료(사진, 음원, 동영상)을 웹 사전에 탑재, 텍스트 자료와 멀티미디어 자료의 입체적 서비스 구축
사전편찬기구와 업무
사전편찬팀의 구성과 운영
사업추진기구 |
자문위원 |
- 자문위원단은 학계의 전문가로 구성하여 운영함
- 사전의 구성과 체계, 표제어 선정의 적절성 평가 등 사전편찬에 관련된 전반적 방향을 제시,평가
- '자문위원'은 사전 전체에 관화여 의견을 제공하며, '분과자문위원'은 사전의 각 분야별 내용들에 대하여 의견을 제공
|
편찬팀 |
- 조사/편수팀은 기초자료 확보와 원고 발주, 원고의 집필, 보조자료 수집 및 분류 정리 등 사전편찬을 위한 전 작업을 주 업무로 함
|
사전편찬 운영실
사업의 규모가 방대하고 전문전 인력이 필요한 중장기 사업임을 감안하여 별도의 사전 편찬팀을 구성
편찬실의 조직과 업무는 연차별 사업 추진 계획에 따라 새롭게 편성, 운영함.
사전편찬팀 |
- 인쇄본 사전의 편찬을 위한 자료수집, 표제어 추출, 집필자 선정 및 관리, 원고 취합 및 윤문·교열·교정, 사진 자료 선정 등의 업무
|
웹사전운영팀 |
- 종이사전 발간 후 웹 사전 탑재
- 멀티미디어·콘텐츠 확장
- 사전 텍스트 수정,보완
- 데이터 축적 및 정리
|
사전편찬 진행과정 및 업무
1 |
편찬 기본계획 수립 |
|
2 |
자문회의 개최 |
- 학계 의견 반영
- 집필 항목·방법 등 편찬 방향 설정 및 검토
|
3 |
표제어 추출 |
- 해당 주제에 맞는 분류 작업
- 표제어 추출 및 선정
|
4 |
편찬지침 확정 |
|
5 |
원고 의뢰/원고 작성 |
|
6 |
보조 자료 수집 |
- 관련 사진 수집(동영상 자료 수집 병행)
- 풍속화 및 삽화 수집·제작
- 관외 자료 목록 작성 및 사용 승인 신청
|
7 |
원고 접수 |
|
8 |
감수 |
|
9 |
사전 제작 |
- 출판 업체 선정
- 사전 제작(편집 디자인·사진보정)
- 가제본 제작 및 최종 검토
|
10 |
출간 배포 홍보 |
- 인쇄 및 사전 완성
- 보도 자료 작성 및 기자간담회 개최
- 배포목록 갱신·배포
|
11 |
웹 서비스 |
|
12 |
포털 검색 서비스 연계 |
|
13 |
다국어판 사전 제작 및 웹 서비스 |
- 다국어판 사전 제작 및 웹서비스를 통한 글로벌화 지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