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호족반"에 대한 검색결과 1937건
표제어 검색(총 18 건)
더보기-
반인
성균관에 소속된 노비인 전복典僕으로서, 문묘를 지키고 유생 부양에 필요한 잡무를 처리했던 사람.
한국민속예술사전 > 민속극 > 용어 -
반보기
半途相会
8월 추석 이후 농한기에 여성들이 일가친척이나 친정집 가족들과 양쪽 집의 중간 지점에서 만나 회포를 푸는 풍속. 원래 시집간 딸과 친정어머니의 만남이 기원이지만 다양한 형태의 반보기가 있다. 지역에 따라중로보기(中路-), 중로상봉(中路相逢) 같은 한자식 용어를 사용한다. 용어에서 짐작되듯 당일치기를 해야 하기 때문에 거리가 멀 경우 부득이 양쪽 집의 중간 지점에서 만났다가 다시 그날 안으로 집으로 돌아가는 애틋한 풍속이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가을(秋) > 8월 > 의례 -
반자
班子
지붕 밑이나 위층의 바닥 밑을 가리기 위하여 꾸민 내부공간의 상부 구조물.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주생활 -
백가반
百家飯
여러 집에서 얻어온 밥을 먹는 정월 대보름 풍속. 전국적으로 행해진 대보름 풍속의 하나로 지역에 따라 대보름 전날 밤에 얻어먹기도 하고, 대보름날 아침에 얻어먹기도 한다. 민간에서는 백가반이라는 용어를 거의 쓰지 않고,쳇밥·조리밥 등 밥을 얻어오는 그릇에서 온 명칭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방 주술적 기능을 취해서 더우밥(무주)·버짐밥(청원) 등으로 부르는 곳도 있고, 막연히 복밥(통영)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정월(正月) > 1월 > 정일 -
반곡
反哭
장사를 지낸 뒤 혼백 혹은 신주를 영거靈車 에 모시고 집으로 천천히 돌아오면서 하는 곡.
한국일생의례사전 > 일생의례 > 상장례
본문 검색 (총 1893 건)
더보기-
소반 - 내용
小盤
소반은 고구려 각저총 벽화의 방형 사족반과 원형 삼족반, 무용총 벽화의 쟁반과 방형반, 낙랑의 삼족 동반 등에서 초기 형태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 등장하는 “東人席地坐故一人專一盤”라는 기술은 한 사람이 소반 하나로 식사를 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이는 왕실의진찬進饌과 진연進宴 의례, 초례醮禮, 계회契會, 시골 아낙의 부엌 소반 차림상 등을 사례로 들 수 있다. 소반은 식사할 때, 술 또는 약을 낼 때, 의례를 치를 때, 점을 칠 때 등 여러 목적으로 쓰인다. 형태와 명칭 역시 다양하다. 이름은 지역 특성에 따라서 통영반·나주반·해주반·충주반·안주반, 다리 모양·수·기능에 따라 호족반·구족반·단각반·회전반, 판형에 따라 원반·화형반·팔각반 등으로 불린다. 숙직과 일직 등 번을 설 때 집에서 음식을 차려 날라다 주는 번상番床도 있다.소반의 기본 구성 요소는 판, 운각, 다리, 족대 등이다. 판은 장방형과 원형이 기본이다. 장방형 소반은 통영, 나주,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식생활 -
서안 - 내용
書案
서안은 한국 전통 온돌문화에서 바닥에 놓고 사용하던 평좌식 책상으로, 당시 서책이나 두루마리 서한書翰 등을 앉아서 읽고 쓰는 데 사용하였다. 서안의 옆에는연상이 놓여 있어서 붓, 벼루, 먹을 보관하여 항상 글을 쓸 수 있도록 하였다. 대체로 서안은 상판이 일자형인 책상, 사찰에서 두루마리 경전 등을 읽기 위하여 상판의 양쪽 끝이 둥글게 올라간 경상經床 등 두가지 형태가 있다. 서안과 달리 경전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한 두루마리 상판 형태의 경상은 불가로부터 유입되어 일반민가에서 두루마리 서책이나 편지를 읽고 쓸 때 책상으로 사용하였다.서안은 남성, 즉 선비들이 사랑방에서 주로 사용한 목공예품이다. 조각이나 색채에서 화려하게 장식된 안방 가구와는 달리 책상이라는 기능에 충실하면서 나무의 목리를 살려 담백한 멋을 잘 나타낸 대표 사랑방 가구이다. 서안의 구조는 천판으로도 불리는 상판, 층널, 천판과 층널을 지지하는 양측면의 판각, 상판과 층널 사이의 크고 작은 서랍과 빈 공간들로 이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주생활 -
차전놀이의 유래 - 역사
차전놀이의 유래는 한결같이 고려 태조 10년(927년) 12월에서 이듬해 1월까지 고창성(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벌어진 고창 전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당시 후백제의견훤군과 고려의 왕건군은 고창성 일대에서 대격돌을 벌였는데, 이때 고창성의 지배적 호족들인 김선평(金宣平), 권행(權行), 장길(張吉) 등 세 사람은 주민들을 이끌고 왕건군에 가담해서 큰 공을 세웠다. 왕건은 이를 기려 세 사람의 호족을 태사(太師)에 봉하고 “동쪽을 편안하게 했다.”라고 하여 고창군을 안동부로 승격시켰다.
한국민속문학사전 > 설화 > 전설 -
양이목사본풀이 - 의의
梁伊牧使本解
정치적 타자와의 대결에서 패배한 양이목사에 대한 이야기는 집단의 정치적 패배 의식이 투영된 변모된 영웅서사시로 이해되기도 한다. 그러나 <양이목사본풀이>는 변화한 정치 질서 속에서 삶을 영위하지 않을 수 없는 사람들이 그러한 현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활로를 모색하는 신화적 서사로 이해할 수 있다. 조선이라는 외부 왕조의 지배 하에서 정치적 권력을 상실한 호족 집단인 양씨 일족의 한 가문에서 발견되는 <양이목사본풀이>는 정치적으로 주변화된 호족 신화의 변모 양상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도 신화사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한국민속문학사전 > 설화 > 신화 -
처용 - 분석
处容
처용에 대해 용신, 무당, 화랑, 호족 자제, 이슬람 상인 등의 설이 있고, 이에 따라 용신신앙, 무속신앙, 화랑도 사상과 관련성이 거론된다. 처용과 아내, 역신의 삼각관계를 바탕으로 한 갈등 구조는 연극적 성격을 지닌다. 역병(疫病) 퇴치의 주술적 의도가 담겨 있으며, 당대에 일어난 성 추문 사건의 설화적 윤색으로 볼 수도 있다.
한국민속문학사전 > 설화 > 전설 -
기신재 - 특징 및 의의
忌晨齋
왕실의 불교적 제사라고 할 수 있는 기신재는 연산군대燕山君代에도 승과를 두게 된 연유가 될 정도로 왕실에서 중시했다. 이를 통해 조선조에도 능침에서 행하는 기신재가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왕실의 불교사찰은 왕릉 등의 근처에 존재하면서재실齋室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왕실뿐만 아니라 양반과 호족들은 입이나 글로는 불교를 힘껏 배격하였지만, 자신의 부모가 사망하면 묘가 있는 산 아래 재궁齋宮을 만들고 재전齋田을 붙이고 불단을 만들었다. 또한, 승려를 불러 아침저녁으로독경하고 향을 올리며 망자에게 회향했던 일이 빈번했다.
한국일생의례사전 > 일생의례 > 제례 -
궁예 - 줄거리
弓裔
신라의 왕자로 태어난 궁예는 태어날 때 이미 이가 났으며, 지붕 위로 긴 무지개가 떴다. 이에 상서롭지 못하다고 여긴 왕이 궁예를 죽이려고 하자 유모가 구출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하여 궁예는 한쪽 눈이 멀게 된다. 성장하면서 자신의 출생에 얽힌 비밀을 알게 된 궁예는 세달사의 승려가 되었다가 896년 후고구려를 세워 철원에 도읍하고 스스로 왕이 된다. 이후 송악의 호족 왕건이 궁예의 부하가 되고, 송악으로 천도한 궁예는부석사의 신라왕상 벽화를 칼로 베어 버린다. 다시 철원으로 천도한 궁예는 스스로 미륵불로 자처하면서 석총과 부인 강씨, 그리고 두 아들을 죽인다. 왕창근이란 상인이 산 거울에 비친 글자를 통해 장차 왕건이 왕위에 오를 것임을 암시한다. 궁예에게 반기를 든 세력에 의해 왕건이 왕으로 추대되고, 쫓기던 궁예는 백성들에게 타살된다.
한국민속문학사전 > 설화 > 전설 -
두리반 - 내용
전통 상차림은 대개 외상(한 사람 몫으로 차린 음식상)이다. 진찬進饌, 진연進宴, 초례醮禮, 계회契會 등에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두리반은 흔히소반과 비교된다. 소반 역사의 연원은 고구려 벽화에서 찾을 수 있지만 두리반은 일제강점기 때부터 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리반은 대가족제하에서 여러 식솔이 둘러앉아서 받던 상이다. 어른은 두리반에서 식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주로 부녀자와 어린이들이 둘러앉아서 식사를 하였다. 때로는 집안일을 돌보는머슴들도 두리반에 둘러앉아서 식사를 하였다.두리반은 실용성 중심 살림살이로, 간결하면서도 소박함 그 자체이다. 마감은 판과 다리에 화려한 문양을 시문하지 않고 칠을 한다. 구조는 판, 운각, 다리로 구성된다. 판의 크기는 소반과 비교해서 크다. 판에는 변죽을 별도로 배치하지 않아서 평이한 느낌을 준다. 두리반은 통으로 판을 만들지만 둥근 판을 한 번에 얻을 수 없는 경우 몇 쪽의 판을 켜고 붙여서 하나의 원판을 만들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식생활
사진 검색(총 25 건)
더보기-
호족반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지남반
한국생업기술사전
-
반곡0003
한국일생의례사전
-
3.반 배정
한국세시풍속사전
-
반건조오징어
한국생업기술사전
-
반곡0002
한국일생의례사전
-
반자03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반자04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음원 검색(총 1 건)
동영상 검색(총 0 건)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연관 검색(총 1320 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