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입춘"에 대한 검색결과 594건
표제어 검색(총 18 건)
더보기-
입춘
立春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도일 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 입춘은 음력으로 주로 정월에 드는데,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다. 이럴 경우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정월(正月) > 1월 > 절기 -
입춘굿
제주도에서 입춘에 베풀어지던 굿놀이. 입춘굿을 ‘춘경(春耕)’ 또는 ‘입춘춘경(立春春耕)’이라고 하며, 이 굿을 노는 것을 “춘경(春耕)친다”고 한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무속신앙 > 무속제의 -
뱀입춘
-立春
정초의 상사일(上巳日)이나 정월 대보름날 집안에 뱀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붙이는 부적의 일종.
한국세시풍속사전 > 정월(正月) > 1월 > 속신 -
입춘굿
立春-
입춘날 제주목(濟州牧) 관아 관덕정(觀德亭) 앞에서 심방의 굿을 통해 그해 농경(農耕)의 풍요를 기원하는 굿놀이.
한국세시풍속사전 > 정월(正月) > 1월 > 절기 -
입춘축
立春祝
입춘날 봄이 온 것을 기리어 축하하거나 기원하는 내용을 적은 글. 입춘(立春)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이자 봄을 맞는 날이므로 이날 봄의 형상에 적합한 축하·기원·경계 등의 글을 쓰는데, 이를 입춘축(立春祝)·춘축(春祝)이라 한다. 그리고 종이를 잘라 좋은 글을 쓰고 입춘일에 각 집마다대문이나 기둥 등에 붙인다고 하여, 입춘첩·춘첩·춘첩자(春帖子)·입춘방(立春榜)·춘방(春榜)·문첩(門帖)이라 하며, 또는 입춘(立春)붙인다고 한다. 그리고 문이나 기둥마다 대구의 글을 지어 붙인다고 하여, 춘련(春聯)·대련(對聯)·문대(門對)라고도 한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정월(正月) > 1월 > 절기
본문 검색 (총 196 건)
더보기-
입춘하례 - 내용
立春賀禮
입춘은 24절기의 시작으로, 봄이 왔다는 것을 상징하는 절기이며 일년 농사 활동의 시작을 알려주는 절기이다. 입춘이 되면 국가에서는 융숭한 봄맞이 행사를 열고, 국왕은 친히 경작 시범을 하며 농경의 중요성을 몸소 보여주기도 하였고, 민간에서는 집안 청소·농기구 손질·두엄 만들기 등을 시작하면서 한 해 농사를 준비하기 시작한다.『고려사(高麗史)』의 기록에 의하면 입춘에 왕이 신하들에게 춘번자(春幡子)를 주었다고 한다. 『고려사』 권67 「지(志)」21 예(禮) 가례(嘉禮) 입춘하례의(立春賀禮儀)에 보면 입춘하례는 인일(人日)에 하례하는 의식과 같으나 단지 입춘에는 춘번자를 받는다고 하여 국왕이 대신들에게 춘번자를 내려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 『고려사』 권13 「세가(世家)」13 예종(睿宗) 5년 12월 계축(癸丑)에는 계축일이 입춘이므로 백관이 건덕전에서 조회를 하니, 왕이 그들에게 춘번자를 주고 봄맞이하는 글 두 수를 지었다는 기록이 있어 입춘하례의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정월(正月) > 1월 > 절기 -
입춘 - 구비전승
立春
대한을 지나 입춘 무렵에 큰 추위가 있으면, “입춘에 오줌독(장독·김칫독) 깨진다.” 또는 “입춘 추위에 김칫독 얼어 터진다.”라 하고, 입춘이 지난 뒤에 날씨가 몹시 추워졌을 때에는 “입춘을 거꾸로 붙였나.”라고 말한다. 입춘 무렵에 추위가 반드시 있다는 뜻으로 “입춘 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는 말이 생겼고, 격(格)에 맞지 않는 일을 엉뚱하게 하면 “가게 기둥에 입춘이랴(假家柱立春).”고 한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정월(正月) > 1월 > 절기 -
입춘 - 점복 및 속신
立春
입춘날 입춘시에 입춘축을 붙이면 “굿 한 번 하는 것보다 낫다.”고 하여 입춘축이 벽사로 붙여짐을 알 수 있다. 전북에서는 입춘축 붙이는 것을 “춘련(春聯)붙인다.” 하고, 이를 붙이면 “봉사들이 독경하는 것보다 낫다.”고 한다. 또 써 붙이지 않고 그냥 글귀를 외워도 좋다고 한다. 전남 구례에서는 입춘축 붙이는 것을 ‘방악(防惡)한다.’ 또는 ‘잡귀야 달아나라.’고 써 붙인다고 한다. 『열양세시기 (洌陽歲時記)』에보리뿌리점[麥根占]이라 하여 농가에서는 입춘날 보리뿌리를 캐어보아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데, 보리뿌리가 세 가닥 이상이면 풍년이고, 두 가닥이면 평년이고, 한 가닥이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서울에서는 입춘날 보리뿌리를 보아 뿌리가 많이 돋아나 있으면 풍년이 들고 적게 돋아나 있으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경기도 시흥·여주, 인천에서는 입춘 때 보리뿌리를 캐어 보리의 중간뿌리[中根]가 다섯 뿌리 이상 내렸으면 풍년이 들고, 다섯 뿌리에 차지 못하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전
한국세시풍속사전 > 정월(正月) > 1월 > 절기 -
입춘축 - 정의
立春祝
입춘날 봄이 온 것을 기리어 축하하거나 기원하는 내용을 적은 글. 입춘(立春)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이자 봄을 맞는 날이므로 이날 봄의 형상에 적합한 축하·기원·경계 등의 글을 쓰는데, 이를 입춘축(立春祝)·춘축(春祝)이라 한다. 그리고 종이를 잘라 좋은 글을 쓰고 입춘일에 각 집마다대문이나 기둥 등에 붙인다고 하여, 입춘첩·춘첩·춘첩자(春帖子)·입춘방(立春榜)·춘방(春榜)·문첩(門帖)이라 하며, 또는 입춘(立春)붙인다고 한다. 그리고 문이나 기둥마다 대구의 글을 지어 붙인다고 하여, 춘련(春聯)·대련(對聯)·문대(門對)라고도 한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정월(正月) > 1월 > 절기 -
입춘탈굿놀이 - 특징 및 의의
제주도 입춘굿과 비슷한 춘경의례春耕儀禮는 다른 지방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유희춘의 『미암선생집眉巖先生集』 「입춘나경의立春裸耕議」, 허목의 『척주기사陟洲記事』 「입춘제선색문立春祭先穡文」, 이학규李學逵의 『낙하생집洛下生集』 「춘경제春耕祭」,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 입춘조立春條 등을 살펴보면 함경도에서 경상도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방에 춘경의례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어느 지방에서도 제주도의 입춘탈굿놀이와 같은 탈놀이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한 『미개未開의 보고寶庫 제주도濟州島』(1924)에는 입춘탈굿놀이를 일본의 입춘 풍속인 미부교겐[壬生狂言]과 비슷한 형식의 탈놀이라고 밝히고 있다.이렇게 볼 때 입춘탈굿놀이는 제주도 무속 특유의 거리굿과 굿놀이가 마을굿을 넘어서서 고을굿으로 확장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민속예술사전 > 민속극 > 굿놀이 -
입춘치 - 내용
立春-
입춘치는 ‘입춘추위’의 전남 방언 또는 축어로 해석한다. 따뜻한 봄을 맞이하는 첫날인 입춘에 날씨가 춥거나 좋지 않으면 그만큼 멸구가 성해 그해 농사가 잘 되지 않을 것이라 한다. 그래서 입춘날의 날씨 상태를 보는 사람은 “이날 눈이 오면 그해 며루가 쓰인다.”고 말한다. 이것은 여름 벼논에 멸구가 많이 생겨 농사에 해를 입힐 것이라는 뜻이다. 곧 입춘날 날씨가 좋으면 농사가 잘 되고, 눈바람이 치는 등 날씨가 나쁘면 그해 농사를 망친다는 것으로, 입춘 때의 날씨가 그해 벼농사를 좌우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행위는 무수한 세월을 거치는 동안 경험을 통해 얻어진 지혜의 산물로, 우리 민족의 슬기로움과 섬세함을 엿볼 수 있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정월(正月) > 1월 > 절기 -
입춘첩 - 내용
立春帖
입춘첩立春帖은 한 해의 무사태평과 풍농을 기원하고 봄이 시작되었음을 자축하기 위해 문구를 써서 집 안 곳곳에 붙이는 첩자의 하나이다. 최영년崔永年의 『해동죽지海東竹枝』에서는 첩자가 시기에 따라 입춘에는 입춘첩자, 설날에는 연상첩자, 단오에는 단오첩자로 나뉜다고 설명하고 있다.조선시대에는 예문관에서 입춘첩을 임금에게 바치기도 하고, 임금은 설날 며칠 전에 대제학大提學을 불러 신하 가운데 글을 잘 짓는 이들을 뽑아 그들에게연상시延祥詩를 짓게 해서 그 가운데 합격한 것을 대궐의 문미門楣에 붙였다. 이는 입춘첩 짓는 것을 학문 평가의 잣대로 삼은 것이며, 그 내용은 봄에 대한 찬양과 임금의 은덕·오복五福 등에 관한 것이었다.민간에서는 입춘첩을 이웃에게 나누어 주기도 하였다. 글을 쓸 줄 아는 문인들이 분주하게 붓을 놀려 자신을 위해 입춘첩을 짓기도 하고, 이웃에게도 선물하였다. 입춘첩은 가문마다 그 문구 내용이 다르며, 전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필사본을 만들기도 하였다. 입춘첩 내용은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주생활 -
입춘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 - 의미
입춘이지만 날씨가 춥다는 의미로 반드시 입춘 무렵에는 추위가 찾아온다는 뜻이다. 즉, 입춘이면 반드시 춥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정월(正月) > 1월 > 절기
사진 검색(총 317 건)
더보기-
입춘축 및 입춘첩00108
한국세시풍속사전
-
입춘축 및 입춘첩00102
한국세시풍속사전
-
입춘축 및 입춘첩00095
한국세시풍속사전
-
입춘축 및 입춘첩00052
한국세시풍속사전
-
입춘축 및 입춘첩00047
한국세시풍속사전
-
입춘축 및 입춘첩00040
한국세시풍속사전
-
입춘축 및 입춘첩00023
한국세시풍속사전
-
입춘축 및 입춘첩00014
한국세시풍속사전
음원 검색(총 61 건)
더보기-
제주 입춘굿
한국민속신앙사전
-
입춘굿
한국세시풍속사전
-
제주 입춘굿 꽃놀림
한국민속신앙사전
-
제주 입춘굿 액막이 06
한국민속신앙사전
-
제주 입춘굿 액막이 03
한국민속신앙사전
-
제주 입춘굿 액막이 02
한국민속신앙사전
-
제주 입춘굿 액막이 04
한국민속신앙사전
-
제주 입춘굿 액막이 01
한국민속신앙사전
동영상 검색(총 2 건)
연관 검색(총 47 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