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유두잔치"에 대한 검색결과 665건
표제어 검색(총 11 건)
더보기-
유두잔치
流頭-
유두연(流頭宴): 여름편
한국세시풍속사전 > 여름(夏) > 6월 > 정일 -
잔치
喜宴
일생의 특정한 날에 가족들이 음식을 장만하고 사람들을 초청해서 기념하는 일.
한국일생의례사전 > 일생의례 > 혼례 -
잔치
기쁜 일이 있을 때 음식을 차려 놓고 여러 사람이 모여 즐기는 일.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식생활 -
유두
流頭
음력 유월 보름날. 소두(梳頭), 수두(水頭)라고도 한다. 소두란 머리를 감는다는 의미이며, 수두란 물마리(마리는 머리의 옛말), 곧 물맞이라는 뜻인데, 이는 모두 유두날의 행사와 관련이 있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여름(夏) > 6월 > 정일 -
유두천신
流頭薦新
유두날 새로 난 과일과 몇 가지 곡식을 음식과 함께 장만하여 조상에게 올리는 것. 왕실에서는 종묘에 올리고 양반가에서는 사당에 올린다. 우리나라에는 전통적으로 햇과일이나 햇곡식을 사람이 먹기 전에 조상에게 먼저 올리는 풍속이 전해 왔는데, 새로 난 것을 바친다는 뜻으로 이를 천신(薦新)이라고 한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여름(夏) > 6월 > 정일
본문 검색 (총 649 건)
더보기-
유두연 - 정의
流頭宴
음력 6월 보름인 유두일에 산간 폭포나 동류수(東流水)에 가서 머리를 감아 액(厄)을 씻어 버리고 준비해 간 음식물을 베푸는 유두 잔치.
한국세시풍속사전 > 여름(夏) > 6월 > 정일 -
유두천신 - 내용
流頭薦新
천신의 대표적인 예는 추석에 햅쌀을 마련하여 조상께 차례를 올리는 풍속이다. 호남지역에서는 추석 전에 올게심리라 하여 아직 여물지 않은 벼를 훑어 조상께 메를 지어 올리고 가족끼리 나누어 먹는 풍속이 있었다. 가택신앙으로 추수가 끝난 후 성주동이나조상단지에 새로 수확한 쌀을 갈아 담는 것도 모두 천신에 해당한다.유두 즈음하여 참외나 수박 같은 햇과일과 피, 조, 기장, 콩, 벼의 햇곡 또 유두의 시절음식인 유두면(流頭麵), 수단 <>(水團), 건단(乾團), 연병(連餠), 상화병(霜花餠)을 사당에 올려 차례를 지낸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6월 월내조(月內條)에 피, 기장, 벼를 종묘에 올린다고 하였는데, 이 역시 왕실에서 행하던 천신의례의 하나였다. 특히 이날 올리는 곡식을 유두피, 유두기장, 유두벼라 부르기도 한다.왕실이나 양반가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조상에게 천신을 하는 의례가 있었다. 지역이나 집안에 따라서 다르기는 하지만, 다른 명절처럼 새벽녘에 조상께 새로 난 과일들을
한국세시풍속사전 > 여름(夏) > 6월 > 정일 -
유두할아버지 - 정의
유두에 천둥소리 나는 것. “유두할아버지 운다.”라고도 하는데 유두할아버지는 두류님[頭流, 머릿님]의 음이 변한 것이다. 다른 이름으로 유두하네비, 유두할배, 유두할아벵이, 유두천둥이 있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여름(夏) > 6월 > 정일 -
유두 - 내용
流頭
유두에는 동류수에 머리를 감고 궂은일을 털어버리는 불제(祓除)를 지내고, 음식을 차려먹으며 놀이를 했던 날로 전해 온다. 이날 약수를 찾아가서 머리를 감으면 부스럼을 앓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산이나 계곡을 찾아 폭포처럼 쏟아지는 물밑에서 물맞이를 한다. 약수터에서 노구메를 드리는 일도 많았다. 노구는 놋쇠로 만든 작은 솥, 메는 밥을 의미하므로 노구메 드린다는 것은노구솥에 밥을 지어 올리며 기원한다는 뜻이다.유두날 가정에 따라 유두천신을 한다. 천신이란 계절에 따라 새로 나는 각종 음식물을 먼저 신에게 올리는 제사를 말한다. 유두 무렵에는 참외, 수박 같은 과일이 나기 시작하므로 햇과일과 함께 밭작물인 밀로 만든 국수, 또는 밀전병을 조상에게 제물로 올려 유두제사를 지낸다.이날 조상뿐만 아니라 논과 밭에서 용신제(龍神祭) 또는 밭제를 지낸다. 이는 풍농을 위한 농신제로서 유두에 지낸다고 하여 유두제라고도 한다.고사 때에는 제물로 으레 팥시루떡을 찌지만, 밭제를 지낼 때에는 밭작물의
한국세시풍속사전 > 여름(夏) > 6월 > 정일 -
6월 - 유두(流頭)
六月
유두는 6월을 대표하는 보름 명절이다. 농경국가에서 보름달은 농사의 풍요와 관련하여 중시하였는데 우리나라에는 정월 대보름과 6월 유두, 7월 백중, 8월 추석에 차례의 보름 명절이 있다. 오늘날에는 추석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전통사회에서는 다른 보름 명절도 각별한 절일이었다. 유두는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약자로,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하면 부정을가신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동류수(東流水)에 머리를 감는 까닭은 동방(東方)이 청(靑)으로 양기(陽氣)가 왕성한 방향이기 때문이다. 물로 몸과 마음을 통해 정화하는 날이 유두이다. 유두는 신라 때부터 있어 온 명절이다. 고려 명종 때 학자 김극기(金克己)의 문집에는 “경주 풍속에 6월 보름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불길한 것을 씻어 버린다. 그리고 액막이로 모여서 술을 마시는 계음(禊飮)을 유두연(流頭宴)이라 한다.”하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高麗史)』에는 명종 15년에 왕이 시어사(侍御史), 환관
한국세시풍속사전 > 여름(夏) > 6월 > 정일 -
농신제 - 명칭
農神祭
유두에서부터 칠석까지 농한기이자 농작물이 성장하는 시기에 올리는 농신제는 풍농에 대한 희구와 농작물 관리에 대한 관심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농신제는 넓은 의미에서 논밭의 주신인 농신에게 지내는 제사라 하여 농신제라 부르지만, 제사 시기, 제사 대상 신령, 제사지내는 곳 등에 따라유두고사, 유두제, 칠석고사, 복제(伏祭), 말복제사(복제사), 용신제, 용왕제, 용제, 농신제, 논고사, 밭고사, 밭제, 충제(虫祭), 참외제, 참외밭고사, 원두제, 쥐밥주기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충북과 충남에서는 제사의 형태나 의미는 동일하나 특별한 명칭으로 부르기보다는 ‘유두에는 논에 나가 기름 냄새를 피워야 한다.’라는 식으로만 표현한다. 강원도에서는 복제와 밭고사의 비중이 높으며, 경기도에서는 참외밭제의 비중이 월등히 높다. 전북에서는 논고사의 명칭이 두드러지며, 전남에서는 용신제와 유두제의 비중이 높다. 경북에서는 용제와 복제의 비중이 높으며, 경남에서는 용신제와 유두고사라 즐겨 부른다. 제각
한국세시풍속사전 > 여름(夏) > 6월 > 정일 -
유두고사 - 내용
유두고사는 유두천신과 유두제 이외에도 용제, 용신제, 농신제 등의 명칭이 있듯이 모두 농사와 직접 관련된 의례이다. 용제나 용신제는 농사의 기본인 물을 관장하는 용신, 곧 농경신인 용신에게 제를 지내는 것이다.유두고사는 가정에서 지내거나 논밭에 나가서 지내기도 한다. 논밭에서 하는 고사를 유두고사라고도 하지만 용제나 용신제 또는 농신제라고도 한다. 이는 논농사의 풍농을 기원하면서 잡곡과 과실의수확을 기리는 것이다. 특히 잡곡농사의 수확을 기리는 천신제의 성격을 지닌다. 또 여름 과실을 수확하는 시기이기도 하여 잡곡과 함께 햇과일을 신에게 올리는 고사를 지낸다. 이는 곧 유두천신(流頭薦新)이다.유두 무렵이면 벼가 한창 자라고 있을 때이다. 예전에는 이 무렵에 이른 벼가 나오기도 했다. 이를 유두벼라 하였다. 유두날을 경상북도 상주지역에서는 유두벼가 패는 날, 예천지역에서는 햅쌀밥을 찌는 날, 경주․군위․월성 등지에서는 옛날 나랏님이 햅쌀밥을 먹는 날, 영양지역에서는 유두벼를 심어서 조
한국민속신앙사전 > 가정신앙 > 제의 -
가배주 - 내용
嘉俳酒
가배嘉俳는 가위의 옛 말로 팔월 한가위의 어원이 된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권1 「신라본기新羅本紀」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9년조에 “7월 보름부터 길쌈매기를 하여 팔월 한가위에 그 승부를 가려, 진 편이 주식酒食을 갖추어 이긴 편을 대접하는데,가무백희歌舞百戱를 행한다고 하고, 이를 가배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가배주는 신라 때부터추석 때 농사의 풍년과 공동체의 안녕을 위해 대단위 군중이 즐긴 절기주節氣酒이자 군음群飮을 위한 술의 한가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배주는 추석에 수확한 햅쌀로 빚은 술이며,차례상에 올리고 음복하기 위한 술이자 풍년을 축하하기 위해 많은 사람이 함께 마시는 잔칫술이라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가배주에는 특별한 제조법이 있는 것이 아니다. 잔치나 놀이에 여럿이 나누어 마시는 술이라는 점에서 수확물 작황이나 참여자 수에 따라 함께 마실 수 있는 술이어야 했을 것이다. 이에 따라서 가배주는청주나 진한 탁주처럼 알코올 도수가 높은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식생활
사진 검색(총 3 건)
음원 검색(총 2 건)
동영상 검색(총 0 건)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연관 검색(총 1875 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