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순창"에 대한 검색결과 386건
표제어 검색(총 5 건)
-
순창고추장
전라북도 순창 지역의 특산물로, 콩과 쌀을 적당한 비율로 섞어 만든 메주와 엿기름가루·고춧가루·쌀 등 전분질 원료를 섞어 발효시킨 매운 맛의고추장.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식생활 -
순창성황제
淳昌城隍祭
1214년부터 1823년까지 600여 년 동안 전라도 순창에서 거행된 지역수호신에 대한 제사의식.
한국민속신앙사전 > 마을신앙 > 제의 -
순창산동리남근석
性石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산동리에 있는 남근석. 1979년 12월 27일에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4호’로 지정되었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마을신앙 > 신체 -
순창창덕리남근석
性石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창덕리에 소재하는 남근석. 1979년 12월 27일에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5호’로 지정되었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마을신앙 > 신체 -
순창성황대신사적현판
淳昌城隍大神事跡懸板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성황신을 섬기던 기록을 적은 현판. 성황신앙의 변천과 이를 둘러싼 순창 지역사회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 1992년 전북 순창에서 발견되었으며 2000년 1월 13일에 ‘중요민속 자료 제238호’로 지정되었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마을신앙 > 자료
본문 검색 (총 82 건)
더보기-
순창창덕리남근석 - 참고문헌
性石
순창문화유산탐구 2 (전북전통문화연구소, 순창문화원, 2000) 아름다운 순창의 문화재 (순창문화원, 2005)
한국민속신앙사전 > 마을신앙 > 신체 -
순창산동리남근석 - 참고문헌
性石
순창문화유산탐구 2 (전북전통문화연구소, 순창문화원, 2000) 아름다운 순창의 문화재 (순창문화원, 2005)
한국민속신앙사전 > 마을신앙 > 신체 -
순창성황대신사적현판 - 참고문헌
淳昌城隍大神事跡懸板
순창성황대신사적 현판의 발견과 그 고찰 (양만정, 옥천문화 1, 옥천문화원, 1993) 순창성황당 현판에 대하여 (남풍현, 고문서연구 7, 한국고문서학회, 1995) 고려시대 순창의 지방세력과 성황신앙 (김갑동, 한국사연구 97, 한국사연구회, 1997) 성황당과 성황제 (한국종교사연구회 편, 민속원, 1998) 순창성황당 현판의 판독과 해석 (남풍현, 성황당과성황제, 민속원, 1998) 조선중기 전라도 순창군 성황 제의의 성격 (정승모, 역사민속학 7, 역사민속학회, 1998) 순창 성황제의 변천과 주도세력 (이해준, 역사민속학 7, 역사민속학회, 1998) 순창의 성황신과 성곽설화 (송화섭, 역사민속학 7, 역사민속학회, 1998) 조선 시대의 성황제 (김철웅, 사학지 35, 단국사학회, 2002)
한국민속신앙사전 > 마을신앙 > 자료 -
순창고추장 - 특징 및 의의
순창 지역 고추장은 고추의 매운 맛과 전분질이 분해되어 생성된 당류에 의한 단맛, 콩 단백질 분해산물로 인한 구수한 맛과 감칠맛이 잘 조화된 복합 향신조미료이다. 순창고추장이 맛있는 이유는 발효에 적합한 담금 시기, 고추장 제조에 적합한 메주 사용, 국산 원료 사용, 최적의 자연 환경, 장류 전문 연구 기관 보유 등으로 볼 수 있다. 순창에서는 음력 8월 말에서 9월 초에 메주를 띄워 음력동짓달 중순에서섣달 중순 사이에 담근다. 순창고추장 메주는 다른 지방과 달리 콩과 멥쌀을 6대 4로 혼합하여 도넛 형태로 빚어 사용한다. 재료도 순창 지역에서 생산된 고추, 콩,찹쌀 등을 사용한다. 현재 순창에서 생산되는 전통 고추장은 찹쌀고추장, 보리고추장, 매실고추장, 복분자고추장이다.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식생활 -
순창성황제 - 참고문헌
淳昌城隍祭
순창성황대신사적 현판의 발견과 그 고찰 (양만정, 옥천문화 1, 옥천문화원, 1993) 순창성황당 현판에 대하여 (남풍현, 고문서연구 7, 한국고문서학회, 1995) 고려시대 순창의 지방세력과 성황신앙 (김갑동, 한국사연구 97, 한국사연구회, 1997) 성황당과 성황제 (한국종교사연구회 편, 민속원, 1998) 순창성황당 현판의 판독과 해석 (남풍현, 성황당과성황제, 민속원, 1998) 조선중기 전라도 순창군 성황제의의 성격 (정승모, 역사민속학 7, 역사민속학회, 1998) 순창성황제의 변천과 주도세력 (이해준, 역사민속학 7, 역사민속학회, 1998) 순창의 성황신과 성곽설화 (송화섭, 역사민속학 7, 역사민속학회, 1998) 조선시대의 성황제 (김철웅, 사학지 35, 단국사학회, 2002)
한국민속신앙사전 > 마을신앙 > 제의 -
순창성황대신사적현판 - 정의
淳昌城隍大神事跡懸板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성황신을 섬기던 기록을 적은 현판. 성황신앙의 변천과 이를 둘러싼 순창 지역사회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 1992년 전북 순창에서 발견되었으며 2000년 1월 13일에 ‘중요민속 자료 제238호’로 지정되었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마을신앙 > 자료 -
순창성황제 - 유래 및 역사
淳昌城隍祭
「성황대신사적(城隍大神事跡)」을 바탕으로 1214년부터 시작되어 1823년까지 600여 년 동안 지속된 성황제의 제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순창성황제의 대상이된 성황신은 남신인 설공검(薛公儉)과 여신으로 이루어진 부부신이었다. 순창의 성황신으로 모셔진 설공검은 1224년(고려 고종11) 설신(薛愼)과 그 부인 밀양 박씨(密陽 朴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강화도의 교동감무(喬同監務)를 시작으로 관계에 발을 들여놓았고, 도병마녹사(都兵馬錄事)를 지낸 뒤 고종 말년에 과거에 합격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예부낭중(禮部郎中)이 되었다. 그가 관직에 취임한 이후 과거에 등제한 것을 보면 초직(初職)은 아버지 설신의 음덕, 즉 음서(蔭敍)로 관직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부(父)나 조(祖)가 5품 이상이면 음서의 혜택을 받을수 있었다. 설공검이 과거 등제 이전에 관직 생활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아버지 설신이 정품인 추밀원부사와 형부상서, 정2품인 상서
한국민속신앙사전 > 마을신앙 > 제의 -
서울신수동복개당화분 - 참조
순창성황제
한국민속신앙사전 > 마을신앙 > 자료
사진 검색(총 295 건)
더보기-
순창 탑리-철륭 상차림
한국민속신앙사전
-
순창 금상마을 탑제00066
한국세시풍속사전
-
순창 금상마을 탑제00067
한국세시풍속사전
-
순창 금상마을 탑제00062
한국세시풍속사전
-
순창 금상마을 탑제00064
한국세시풍속사전
-
순창 금상마을 탑제00065
한국세시풍속사전
-
순창 금상마을 탑제00053
한국세시풍속사전
-
순창 금상마을 탑제00045
한국세시풍속사전
음원 검색(총 0 건)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동영상 검색(총 4 건)
연관 검색(총 6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