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동반
01
남은 음식은 해를 넘기지 않는다고 하여 섣달그믐날 저녁에 남은 음식을 모아 비비는 밥. 민간의 풍속에 음력 12월 30일인 섣달그믐에 남은 음식을 모두 모아서 골동반(骨董飯)을 먹는다고 한다. 여기서 골동반은 비빔밥을 가리키는 한자어이다.
수질
02
상중에 상주가 머리에 두르는 둥근 테.
독도
03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에 위치한 독도에 관한 설화.
04
농촌의 아이들이 봄을 맞이하여 들에 나가서 물오른 나뭇가지 껍질을 벗겨 피리를 만들어서 불며 노는 놀이.
05
제기를 가지고 발로 차는 놀이. 제기는 엽전이나 쇠붙이에 얇고 질긴 종이나 천을 접어서 싼 다음, 끝을 여러 갈래로 찢어 너풀거리게 한 놀이기구이다. 주로 겨울에서 정초에 걸쳐 노는 어린이 놀이이다.
06
조선 후기 군관과 문무관이 갖추어 입은 군복.
07
조선 세조와 얽힌 일화로, 속리산 법주사 입구에 서 있는 소나무에 대한 설화.
농업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민속극
민속놀이
음악
농악
무용
민화
일생의례
설화
민요
판소리
가정신앙
마을신앙
무속신앙
월별
계절별
분야별
제기차기
구미 발갱이 들소리
노장춤(은율탈춤)
창녕 계팔마을 동지차사 (Long)
회다지소리(인천 근해 도서지방 상엿소리)
상달고사
북
양반춤(하회별신굿탈놀이)
연날리기
소고놀이
경직도00002
아리랑
달집돌기
모란괴석도
부여 용정리 상엿소리
장흥 방촌리 별신제
연기 용암리 강다리기
걸립패
농업 I
한국생업기술사전
농업 II
주생활 I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주생활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