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455
-
가야진용신제
伽倻津龍神祭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 당곡마을에서 매년 음력 3월 초정일(初丁日)에 가야진(伽倻津)의 용신(龍神)에게 올리는 의례. 1997년 1월 30일에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되었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강
講
제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제관들이 제의를 연습하는 것.
한국민속신앙사전 -
강릉안인진해령사
江陵安仁津海靈祠
정의 강원도 강릉시 안인진(安仁津) 포구마을에서 어민들이 풍어와 안녕을 기원하는 제당.
한국민속신앙사전 -
강릉행깨마을고청제
강릉시 주문진읍 향호1리 행깨마을의 제의. 원래는 하늘에 제향하는 제의였지만 전승 과정에서 변화하여 서낭제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강신
降神
마을신앙에서 신령을 불러들이는 첫 번째 의식.
한국민속신앙사전 -
강진사문안석조상
강진사문안석조상(토동입석상)은 사찰의 경계표시 또는 수호신적 역할을 하는 석상이지만 마을신앙의 신체(神體)는 물론 도깨비신앙의 신체로 정착된 석상. 1992년 3월 9일에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87호’로 지정되었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강화교동도부군당제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 읍내리에서 음력 정초에 길일(吉日)을 택해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는 의례.
한국민속신앙사전 -
강화교동도자신당
중국 사신(使臣)의 무사 귀환과 풍어(豊漁)를 기원하는 제당.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읍내리에 위치하며, 사신당(使臣堂)이라고도 부른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개
마을신의 흠향을 위해, 혹은 특정 대상신에게 부정(不淨)행위를 하여 주재집단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바치는 제물.
한국민속신앙사전 -
개양할미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수성당에 좌정해 있는 칠산바다의 여신. 칠산바다의 주요 해신(海神)은 개양할미와 그가 낳은 여덟 딸들이라 할 수 있다. 개양할미는 칠산바다의 여신을 총 지휘하는 으뜸 신격에 해당되며 어부들의 뱃길 안전과 풍어를 돕는 기능을 한다.
한국민속신앙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