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83
-
가난타령
중 흥보 혹은 흥보 아내가 가난을 한탄하며 부르는 자탄 형식의 사설로 이루어진 소리 대목.
한국민속문학사전 -
고고천변
皐皐天邊
중 별주부가 토끼의 간을 구하려고 육지로 가는 도중 눈앞에 펼쳐진 아름다운 해상과 산천의 경치를 읊은 소리 대목.
한국민속문학사전 -
고국산천
故國山川
에서 토끼가 별주부 등을 타고 수궁에서 육지로 귀환하면서 살아나온 것을 기뻐하며 풍경을 나열하는 소리 대목.
한국민속문학사전 -
공양미삼백석
중 심청이 동냥 나간 사이 개천에 빠진 심봉사가 자신을 구한 화주승에게 시주를 약속 후 자탄하자 심청이 부친을 위로하는 대목.
한국민속문학사전 -
과거장
科擧場
중 이몽룡이 글공부에 힘써서 장원급제를 한 다음 암행어사를 제수 받아 역졸들을 데리고 남원으로 내려가는 내용의 대목.
한국민속문학사전 -
곽씨부인출상
郭氏夫人出喪
중 곽씨 부인이 심청을 낳고 난 후, 제대로 쉬지 않고 일을 하여 산후별증으로 죽게 되자, 심봉사가 곽씨 부인의 주검을 앞에 두고 탄식하고 마을 사람들이 상여를 매고 뒷산에 매장하여 주는 상엿소리 대목.
한국민속문학사전 -
광한루경
廣寒樓景
판소리 중 이 도령의 분부에 따라 방자가 를 하는 장면과 이 도령이 광한루에 올라 사방의 경치를 둘러보고, 광한루원에서 바라보는 사방 경치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소리 대목.
한국민속문학사전 -
군사설움타령
에서 적벽대전(赤壁大戰)을 앞두고 군사들을 격려하기 위해 조조가 잔치를 베푸는 장면에서 전쟁터에 끌려나온 이름 없는 군사들이 자신들의 설움을 토로하는 내용의 소리 대목.
한국민속문학사전 -
군사점고
軍士點考
판소리 에서 조조가 적벽대전에서 패퇴하여 도주하다가 화용도에 이르기 전에 따르는 군사들을 점고하는 사설.
한국민속문학사전 -
기산영수
箕山潁水
중 이 도령이 방자에게 남원에 구경할 만한 곳이 있는가 묻고, 자신의 봄나들이의 당위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소부(巢父)와 허유(許由)의 고사인 기산(箕山)과 영수(潁水)를 활용해서 소리하는 대목.
한국민속문학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