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국민속대백과사전
Close
메뉴 검색
  • 개요
  • 표제어
    • 표제어 검색
    • 분야별 검색
    • 가나다색인
    • 집필진
    • 지도로 보는 민속사전
  • 멀티미디어
    • 사진
    • 음원
    • 동영상
  • 문헌자료
    • 문헌자료
    • 사전다운로드
  • 사전소개
  • Language
    • 한국어
    • English
    • 中文
    • Español
한국민속문학사전
  • 사전 전체 보기
  • 한국민속상징사전
  • 한국생업기술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한국민속예술사전
  • 한국일생의례사전
  • 한국민속신앙사전
  • 한국세시풍속사전
  • 개요
  • 표제어
    • 표제어 검색
    • 분야별 검색
    • 가나다색인
    • 집필진
    • 지도로 보는 민속사전
  • 멀티미디어
    • 사진
    • 음원
    • 동영상
  • 문헌자료
    • 문헌자료
    • 사전다운로드
  • 사전소개
  • Language
    • 한국어
    • English
    • 中文
    • Español

표제어 검색

한국민속문학사전-판소리
  • 한국민속상징사전-호랑이
  • 한국생업기술사전-농업
  • 한국생업기술사전-어업
  •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생활
  • 한국의식주생활사전-식생활
  •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
  • 한국민속예술사전-민속극
  • 한국민속예술사전-민속놀이
  • 한국민속예술사전-음악
  • 한국민속예술사전-농악
  • 한국민속예술사전-무용
  • 한국민속예술사전-민화
  • 한국일생의례사전-일생의례
  •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 한국민속문학사전-민요
  • 한국민속문학사전-판소리
  • 한국민속신앙사전-가정신앙
  • 한국민속신앙사전-마을신앙
  • 한국민속신앙사전-무속신앙
  • 한국세시민속사전-월별
  • 한국세시민속사전-계절별
  • 한국세시민속사전-분야별
전체(210)
  • 전체(210)
  • 단가(30)
  • 수궁가(5)
  • 심청가(4)
  • 용어(39)
  • 자료(16)
  • 적벽가(4)
  • 춘향가(6)
  • 판소리 다섯마당(83)
  • 판소리 다섯마당 외(18)
  • 흥보가(5)
전체
  • 전체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기타
  • 호랑이

  • 농업

  • 어업

  • 의생활

  • 식생활

  • 주생활

  • 민속극

  • 민속놀이

  • 음악

  • 농악

  • 무용

  • 민화

  • 일생의례

  • 설화

  • 민요

  • 판소리

  • 가정신앙

  • 마을신앙

  • 무속신앙

  • 월별

  • 계절별

  • 분야별

  • 전체(210)
  • 단가(30)
  • 수궁가(5)
  • 심청가(4)
  • 용어(39)
  • 자료(16)
  • 적벽가(4)
  • 춘향가(6)
  • 판소리 다섯마당(83)
  • 판소리 다섯마당 외(18)
  • 흥보가(5)
메뉴 접기 메뉴 펼치기
  • 전체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기타

전체 : 210

  • 가난타령

    중 흥보 혹은 흥보 아내가 가난을 한탄하며 부르는 자탄 형식의 사설로 이루어진 소리 대목.

    한국민속문학사전
  • 가루지기타령

    변강쇠타령

    한국민속문학사전
  • 가사춘향이백구

    만화본춘향가

    한국민속문학사전
  • 가자가자어서가자

    고국산천

    한국민속문학사전
  • 가짜신선타령

    한 어리석은 선비가 신선이 되려고 금강산에 들어가 노승에게 청해 복숭아와 술을 얻어먹었으나 끝내 신선이 되지 못했다는 내용의 판소리로 열두마당의 하나.

    한국민속문학사전
  • 갈까보다

    춘향자탄가

    한국민속문학사전
  • 갑신완문

    甲申完文

    서기 1824년 갑신년(甲申年)에 호조에서 팔도재인(八道才人)이 올린 등장에 답한 공문.

    한국민속문학사전
  • 강릉매화타령

    江陵梅花打令

    강원도 강릉을 무대로 하여 골생원과 매화가 사랑 행각을 벌이는 과정을 담은 판소리 사설.

    한국민속문학사전
  • 강상풍월

    江上風月

    달맞이, 산과 강을 즐기는 풍류 등을 중심으로 강 위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단가.

    한국민속문학사전
  • 고고천변

    皐皐天邊

    중 별주부가 토끼의 간을 구하려고 육지로 가는 도중 눈앞에 펼쳐진 아름다운 해상과 산천의 경치를 읊은 소리 대목.

    한국민속문학사전
<<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21

다음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대백과사전

03045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37

Copyright © 국립민속박물관. All Rights Reserved

저작권정책

전체 방문자 : 8,873,195명

금일 방문자 : 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