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67
-
각심절본
서울굿의 사제계승에 따른 유파를 구분할 때에 동문 밖의 유파를 이르는 말.
한국민속신앙사전 -
강신무
降神巫
입무 과정으로 무당을 유형화하는 학문적 용어로, 신병(神病)을 앓아 내림굿을 받고 신이 실려 공수를 하는 무당.
한국민속신앙사전 -
경관만신
황해도 무당들이 굿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써 왕초격의 무당.
한국민속신앙사전 -
고드개 무당
함경도 무속 현장에서 쓰이는 용어로써 내림굿을 받고 얼마 되지 않은 새 무당.
한국민속신앙사전 -
고풀이
망자(亡者)가 순탄하게 저승길로 가도록 비는 전라도 지역 씻김굿의 한 과정.
한국민속신앙사전 -
공수
神语
강신무가 모시는 신령이 굿을 진행하거나 점사를 풀어보는 과정에서 무당을 통해 인간에게 내리는 신탁 중 말로 이루어진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
한국민속신앙사전 -
공창무
空唱巫
입을 벌리지도 않아도 공중에서 소리가 들리도록 하는 술법을 사용하는 무당.
한국민속신앙사전 -
구애비
鬼業
귀신의 업[鬼業]. 귀업이 또는 구업이라고도 한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구파발본
舊把發本
서울의 북쪽인 구파발 지역에 전승되는 무가를 비롯한 무속의 여러 특징적인 문서. 구파발이라고 해서 구파발 지역에만 전승되는 것이 아니라 무악재 너머의 서울 북쪽 지역까지를 포함한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국무
國巫
국가 차원의 제의를 주관하기 위해 도성 안에 둔 무당. 나라무당, 나라만신, 대무(大巫) 등으로 불린다. 국행제(國行祭)인 기우제를 집전하고 명산대천에서 왕실의 축복을 기원하며, 내행제(內行祭)인 치병의례 등을 주관하였다.
한국민속신앙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