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646
-
가망
感应
한국 무속에서 신령들의 근원(根源)을 관장하여 굿문을 열고 신령과 인간이 만날 수 있게 하는 신령의 이름.
한국민속신앙사전 -
가신위목
家神位目
집안 신령[家神]을 위하고 한 해 동안 무탈하길 바라는 안택을 할 때 신을 모시기 위한 위목(位目)
한국민속신앙사전 -
가지꽃
서울굿의 모든 굿에 사용되는 꽃. 다리화·함박꽃(목단)·살잽이꽃으로 만드는데, 한 가지에 여러 송이를 꽂았다하여 가지꽃이라 부른다. 또한 두 종류 혹은 세 종류 이상의 꽃을 꽂았다는 점에서 갖은꽃이라고도 부른다. 새남굿에서 무당의 머리에 꽂을 때는 머리꽃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각심절본
서울굿의 사제계승에 따른 유파를 구분할 때에 동문 밖의 유파를 이르는 말.
한국민속신앙사전 -
감흥시루
황해도굿에서 감흥당을 꾸미고 나서 바치는 시루며, 경우에 따라 감흥신을 위해 올리는 시루를 지칭하기도 함.
한국민속신앙사전 -
감흥신령
단군왕검을 지칭하는 다른 신명(神名).
한국민속신앙사전 -
감흥화
감흥신령을 상징하는 꽃.
한국민속신앙사전 -
강대형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2호 황도붕기풍어제의 보유자.
한국민속신앙사전 -
강릉단오제
江陵端午祭
강릉에서 해마다 단오를 중심으로 열리는 전통축제. 지역주민들이 대관령 국사성황과 대관령 국사여성황, 대관령 산신을 모시고 제의를 지낸 후 다채로운 단오명절을 즐기면서 공동체의식을 강화했다. 강릉단오제는 1967년 1월 16일에 ‘중요무형문화재 13호’로 지정되었고, 2005년 11월 25일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에 등재되었으며, 이 명칭은 2009년부터 ‘대표목록’으로 바뀌었다.
한국민속신앙사전 -
강신무
降神巫
입무 과정으로 무당을 유형화하는 학문적 용어로, 신병(神病)을 앓아 내림굿을 받고 신이 실려 공수를 하는 무당.
한국민속신앙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