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156
-
8월
八月
8월(八月)은 가을의 한가운데에 위치한 달이라고 하여 중추(仲秋), 달빛이 고울 때라고 하여 가월(佳月), 십이지로 따져서 유월(酉月), 추천(秋天) 또는 장월(壯月)이라 일컬어진다. 이칭에서도 나타나듯이 8월은 달빛이 곱고 놀기도 좋은 때이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가마등
두 사람이 마주 서서 서로 손목을 잡아 정(井)자형을 만들고 위에 한 사람을 태워서 놀거나 목표물을 정해 목표물까지 달리는 놀이. 전남 지역에서는 가마등, 가마타기놀이, 전북 지역에서는 가마태기라고 부른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가마타기노래
강강술래: 가을편
한국세시풍속사전 -
가배
嘉俳
추석을 일컫는 고어(古語). ‘가위’라는 우리말을 이두식으로 표기한 것이다. 가배(嘉俳)의 변형 표기로는 가우(嘉優)가 있다.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라는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가배(嘉俳)는 원래 순우리말로 그 옛 어형은 ‘’였고 이것을 분철하면 ‘(中央)+(日)’가 되며 이는 ‘가운뎃날’이라는 뜻이다. 8월 보름을 오늘날에는 한자어로 중추절(仲秋節) 또는 추석(秋夕)이라고 한다. 중추절의 중(仲)은 가운데를 뜻하는 중(中)과 같은 뜻으로 가을의 한가운데 명절이라는 의미이다. 가을이라 하면 삼추(三秋)라 하여 음력 7월과 8월 그리고 9월을 꼽는다. 이 중 가운데 달은 8월, 그리고 가운데 날은 보름이다. 가배는 바로 가을의 가운데 달의 가운데 날로 만월(滿月) 명절 가운데서도 으뜸의 날이 된다. 곧 가배는 가운데 날이라는 뜻이며 실제로 가윗날은 가을의 가운데 달 곧 8월, 그 중에서도 가운데 날인 보름인 것이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가배주
嘉俳酒
음력 8월 15일 한가위에 가무백희(歌舞百戱)를 하면서 마시던 술.
한국세시풍속사전 -
가윗날
추석(秋夕)을 일컫는 옛 우리말. 가위라고도 하는데 한자음으로 쓰는 이두음으로 가배(嘉俳)라고도 하였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가을 곡식은 찬 이슬에 영근다
가을에 이슬이 내리면 곡식이 딴딴하게 잘 여문다는 의미의 속담.
한국세시풍속사전 -
가을걷이
가을에 다 여문 곡식들을 거두어들이는 일. 추수(秋收)라고도 한다. 가을걷이는 곡식을 거두기 위해 이삭이나 열매만을 따거나 줄기까지 베는 일(작물에 따라 따기, 꺽기, 베기라고 함)과 이를 말리는 일 그리고 알곡을 떨어내는 타작(마당질이라고도 함)으로 구분한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가지수확
가지파종: 봄편
한국세시풍속사전 -
강강술래
羌羌水越来
음력 8월 한가윗날 밤에 호남 지역에서 널리 놀았던 여성 집단놀이. 현재는 전국적으로 이 놀이가 확산되어 굳이 호남 지역의 민속놀이라기보다는 전국화된 놀이라고 할 수 있다. 강강술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놀이로서 가장 여성적인 아름다움과 율동미가 넘치는 민속놀이요 민속춤이요 또한 민요이다. 가무악(歌舞樂)이 일체화된 강강술래는 주로 추석날 밤에 행해지며, 지방에 따라서는 정월대보름 밤에 하기도 한다. 1966년 2월 15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한국세시풍속사전